유물 및 유적

home > 유물 및 유적

변남룡 묘갈(卞南龍 墓碣)

페이지 정보

본문


yj007.jpg

소 재 지 : 충남 천안시 직산읍 남산리 37-1

문화재 지정

배 향 인 물 : 변남룡

창 건 연 도 : 1988년

중건연도

향 사 일

 

iq02.png 변남룡 이력(변희림 정리)

고려말(高麗末) 문하평리(門下評理) 변빈(卞贇)의 아들이다. 자(字)는 운경(雲卿), 호(號)는 정암(靜庵)이다. 고려 공민조(恭愍朝)에서 현량과(賢良科)에 등과하여 문하시랑(門下侍郞)을 지내고 조선(朝鮮)조에 한성부윤(漢城府尹)을 지내다. 정종복위사건(正宗復位事件)에 연루(連累)되어 장남 혼(緷)과 함께 화(禍)를 입고 태종원년(1401년) 2월9일에 옥사하였다.

 

iq02.png 변남룡 묘갈

충남 천원군 직산면 남산리 산 37-1번지 유자원에 삼위 합폄한 묘소는 바로 정암 변공 휘남룡과 그 전후 배의 체백을 모신 곳이니 정부인 충주 지씨는 정승 득청의 여이고 정부인 파주 염씨는 곡성부원군 충경공 제신의 여인데 실전되었던 공과 정부인 지씨는 단기4318년 을축(서기1985년) 정부인 염씨 묘소에 초혼 합장하였다. 여러 후손들이 비석을 세우고 묘역을 가꾸는데 종화 상국이 나에게 비문을 부탁하므로 이조실록과 가첩을 참고해 보았다.

 

공의 벼슬은 개성윤을 거쳐 한성판윤이요 세계는 시조 휘 정실이 문하시중을 거쳐 팔계군에 봉해지니 팔계는 바로 초계의 옛 이름이므로 초계를 본관으로 삼았다. 네 번 전하여 휘 용은 대호군이니 공의 고조가 되고 증조 휘 치는 녹사요 조 휘 경은 대호군이고 고 휘 빈은 문하평리니 여말에 충의를 지키어 성구사와 두문동서원에 배향되었고 어머니는 정부인 이씨이다.

 

공이 칠남 일녀를 두었으니 주부 혼 연안부사 순 장흥부사 타 참판 굉 예문제학 효문 이조참판 효경 우윤 효량 군수 하음 봉유지이다.

 

혼은 무후하고, 순의 아들 포는 병사, 타의 아들 한은 좌윤, 긍은 교리, 굉의 아들 질은 병사, 효문의 아들 균은 직장, 심은 현감, 이흠도 현감, 효경의 아들은 군수, 효량의 아들은 부사이다 증현 이하는 다 기록하지 못하고 대략 문무과 공신과 수재와 정문 또는 사우 배향만 들어보면 증손에 옥곤은 훈련부정 현손에 준은 정국공신 병조판서 초계군 충경공인데 충북 청원군 가덕면 시동소재 부조묘에 배향되었다. 진은 현감이요 충남은 판결사요 훈남은 군수로 청백리요 온은 부사이며 자호는 현감이다.

 

오대손에 해는 현감이고 경수는 산장이요 경복은 효행정려가 있고 국계서원에 배향되었으며 홍조는 군수이다. 육대손에 유헌은 선무원종공신이고 유명은 절충장군이요 유인은 장락원정이요 구는 절충장군이요 몽량은 통제사이다.

 

칠대손에 시민은 부사요 시환은 문과로 현감이며 송계서원에 배향되고 시망은 좌랑이요 시익은 문과로 좌승지요 시석은 호조참의요 시보는 선교랑이요 성온 성진은 월계사에 배향되고 국형은 수사요 국간은 칠도병수사로 장지를 하사받아 예장되었고 금곡사에 배향되었다.

 

팔대손에 상증은 도사로 첨암서원에 배향되고 황은 문과로 참의이고 앙은 선략장군이다. 선무원종공훈 홍주와 첨사 홍건과 선무원종훈북병사 홍달과 호군 홍량은 모두 금곡사에 배향되고 존서는 부장으로 선무원종훈이다.

 

구대손에 홍성은 어모장군이요 동옹은 동지중추부사요 동명은 통정대부요 시현은 현감이고 공의는 선무원종훈이요 연수는 선무원종훈으로 성구사에 배향되고 덕황은 임란순절 금곡사에 배향되고 덕장은 선무원종훈이다.

십대손에 희하 관하는 함께 양무원종공신이요 익하는 효자 정문이 있고 일하는 현감이요 립은 임란순절좌승지로 삼강려와 성구사에 배향되었다.

 

국계서원에 입향하신 눌제 박증영 선생의 아들 강수 문도공 훈은 현손서이고 임진왜란 때 성웅으로 알려진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외손이다.

 

아! 공이 어진 아버지의 아들로 명문에 장가들고 벼슬이 경렬에 이르렀으며 백강 봉 판서 문과 호정 하 문충공 륜과 계림군 정 양경공 희계로부터 서로 사귀었으니 그 이력과 행사의 기록할 만함이 많았을 것이나 오백 수십 년이 지난 오늘에 그 자상함을 얻지 못하니 이것이 한이로다. 그러나 후손들이 대대로 명인이 많아서 오늘까지 이어왔으니 공의 가법이 바르고 음덕이 두터움을 가히 미루어 알 수 있도다. 위와 같이 기술하여 가문의 훌륭한 조상임을 알리는 바이다.

 

단기 사천 삼백 이십 일 년(1988년) 무진 칠월 일

한국고문연구회 대표 황주 변시연 지음

십칠대손 종국 근서

 

iq02.png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비(1379년 우왕 5년)에 나타나는 변남룡

 

yj008.jpg

 

경기도 여주에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비(神勒寺 普濟尊者 石鐘碑) 뒷면에는 변남룡의 이름이 또렷하게 음각되었다. 이 비는 당대의 명필 한수가 글씨를 쓰고 고려시대의 대문장가이자 정치가이며 절의가 뛰어난 목은 이색이 찬하였다. 보제존자는 서왕가를 지은 유명한 선승으로 비가 세워진 해는 1379년 우왕 5년이다.

 

보제존자 나옹화상 석종비가 변문에게 갖는 의의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변문이 1379년 공식적인 금석문에 최초로 등장한다는 점이다.

둘째는 변씨의 종교적 성향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변수남 기록)

 

iq02.png 충남 천안시 직산읍 남산리 37-1

 

yj009.jpg

 

 

iq05.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