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 및 유적
home > 유물 및 유적
충경사(忠敬祠)
페이지 정보
본문
소 재 지 : 충북 청원군 가덕면 시동리 문화재 지정 배 향 인 물 : 변준(卞儁 ) 창 건 연 도 : 1967년 이전, 1988년 중건 사액연도 향 사 일 |
건축물
변준(卞儁)의 위패를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방축리(方丑里)에서 옮겨 모신 사당으로 1967년에 세웠다. 일명 ‘초계사(草溪祠)’라고도 하며,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1988년에 중건한 것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이다. 내부는 통간 마루방에 분합문을 달고 앞마루를 놓았으며, ‘충경사(忠敬祠)’라는 현판을 달았다. 마당 앞으로 솟을대문을 세우고 담장을 둘렀다.
병조판서 충경공 초계군 변준 비문-1982년
청주 동쪽 가덕 시동 뒤 산록 동남방의 언덕에 사척이나 되는 높은 묘는 초계 변공 휘 준의 체백을 모신 곳이다. 처음에는 광주 오릉동에 장사지냈으나 정부 개발에 따라 부득이 이 곳 시동으로 면봉하였다. 공이 돌아가신 후 사백여 년에 종파의 여러 후손들이 빗돌을 세워 묘지에 표하려는 의논을 하였다. 위대하고 훌륭하구나! 공의 후손이 행장을 가지고 와서 묘지명을 청하는데 나는 글을 모른 고로 사양했으나 얻지못하고 행장을 살폈다.
행장에는 고려 문하시중 봉 팔계군 시호 문열공 휘 정실이 상조라고 되어있었다. 여기에서부터 규조훤혁으로 동방의 명족이 되었다. 휘 빈은 문하평리로 고려 운명이 끝나는 것을 보고 두문동에 은둔하여 고려 충신으로 남은 생을 조용하게 마쳤는데 두문서원에 배향되었다. 빈은 공의 오세조이시다. 고조는 휘 남룡이고 호는 정암이며 벼슬은 한림 문하시랑을 지냈다. 이태조가 어렸을 때 스승으로 삼아 배운 의론으로 한성판윤을 제수했으나 받지 않았다. 진주의 성구사에 배향되었다. 증조의 휘는 순으로 문과 진사로 홍문관 교리 연안부사에 이르렀다. 증 병조참판이 되었다. 조는 포로 첨지중추부사로 청주 장흥 부사와 전라병사를 역임했다. 증 병조참판이 되었다. 아버지는 옥곤으로 훈련부장 어모장군이며 어머니는 광주 안씨좌참찬 사간공 후손으로 사재서령 철산의 딸이다. 편안하고 한가하고 정숙하고 고요하며 어머니의 위의와 부인의 덕이 있었다.
공은 충효법가의 후예로 공훈을 물려받아 어모장군 겸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오위장군에 올랐다. 천성이 효우공근하여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하고 종족간에 화목하고 벗들간에 믿음이 있었다. 아울러 청백 강직지절을 겸하여 모든 일과 행동에 의리가 아니면 움직이지 않았다.
연산군이 학정을 하여 조야의 인심이 흉흉하여 마음 둘 곳이 없었는데 공은 의기를 분발하여 유순정 등 구인과 함께 창의하여 연산군을 폐위하여 교동으로 보냈다. 중종대왕을 받들어 태평하게 다스릴 것을 기약하여 이에 정국공훈으로서 특별히 자헌대부 지의금부도사 병조판서에 오르고 초계군에 봉해지고 충경의 시호를 받았다. 부조묘가 있다. 중종 팔 년 계유년 사월십일 일에 졸하셨다.부인은 정경부인 양성 이씨로 화합하고 순하며 곧으며 정숙하여 군자를 예로서 섬겼으며 자손을 의롭고 방정하게 처신하도록 예로서 가르쳤다. 종족과는 돈목했으며 비복은 화순하고 부드럽게 대했다. 태사 태임의 덕이 있었는데 갑술 정월 십구 일 졸하셨다. 묘는 공과 같은 자리에 함께 안치했다.
아들은 온으로 충좌위부호군이고 제학공 휘 효문의 현손으로 뒤를 이었다. 손자는 기수로 충좌위부사과로 글이 아름다웠고 독실하게 행동하여 사림에서 중히 여겼다. 이하는 기록하지 않는다.
아! 공은 일대의 위인이다. 선조를 받듦에 덕이 있었고 효우자애지덕이 있었으며 임금 섬김과 아랫사람 다스림에 공명정대한 의가 있었다. 국란에 임해서는 나라를 평안하게 하는 용기와 과감한 절개가 있었다. 이름이 역사에 드리웠으니 선조를 드러냈고 이름을 떨쳤으니 후세에 영광됨과 또 후손의 백세 뒤에도 칭송과 사모가 쇠하지 않고 영원히 썩지 않을 것이다. 명왈
초계 빛나는 가문은 변문이 봉해진 곳
특별히 판서에 오르고 정국공신 되었네
청백 강직한 기절은 군계일학이었고
조상에서 후손까지 문무가 있었네
시동의 언덕 사척의 묘 높이 숭앙하니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고 천억 년을 가리라
단기사천삼백십오년(1982년) 임술 칠월 상한
청주문묘 수석장의 상산 박윤섭 찬
한양 조수형 서
兵曹判書 忠敬公 卞儁 墓碣(병조판서 충경공 변준 묘갈)
淸州治東加德
兵曹判書 忠敬公 卞儁 墓碣(병조판서 충경공 변준 묘갈)
淸州治東加德柿洞後麓巽坐之原崇封四尺之墓草溪卞公諱儁體魄之藏也初葬于廣州五陵洞政府開發不得已緬奉于此柿洞公沒後四百餘年宗支諸孫合謀幷力將竪貞珉顯刻以表阡道偉亦休哉公之裔孫抱狀文而來請墓銘於余以不文固辭不獲按狀曰高麗門下侍中封八溪君諡文烈諱庭實爲上祖自是珪組烜爀爲東方名族諱贇門下評理見高麗運訖隱遁于杜門洞罔僕自靖終餘年享杜門書院於公五世祖也高祖諱南龍號靜菴官翰林門下侍郞李太祖幼時受學師事之誼除漢城判尹不就享晉州誠久祠曾祖諱純文科進士至弘文館校理延安府使贈兵曹參判祖諱袍僉知中樞府事歷典淸州長興全羅兵使贈兵曹參判考諱玉崑訓練副正禦侮將軍妣廣州安氏左參贊思簡公後孫司宰署令鐵山女安閒貞靜有母儀婦德公以忠孝法家之後裔世襲勳階禦侮將軍兼折衝將軍僉知中樞府事五衛將軍天性孝友恭謹孝於父母友于兄弟睦於宗族信乎朋友兼有淸白剛直之節一事一行非義理不動當燕山虐政朝野人心兇兇罔措公乃奮發義氣與柳公順汀等九人倡義廢庶燕山放于喬洞奉中宗大王期治太平以靖國功勳特陞資憲大夫知義禁府都事兵曹判書封草溪君諡忠敬有不祧廟中廟八年癸酉四月十一日卒配貞敬夫人陽城李氏和順貞淑事君子以禮敎子孫義方處宗族敦睦御婢僕和柔有姙姒之德甲戌正月十九日卒墓與公同兆祔坐子溫忠佐衛副護軍以提學公諱孝文玄孫入后孫耆壽忠佐衛副司果文雅篤行爲士林推重以下不錄噫公一代偉人也奉先裕後有孝友慈愛之德事上御下有公明正大之義臨亂靖國有勇斷果敢之節名垂竹帛以顯先祖揚名後世榮及後昆百世之下頌慕不衰永世不朽矣銘曰
草溪華閥卞門封君
特陞判書靖國功勳
淸白剛直氣節超群
乃祖乃孫有文有武
柿洞之原崇被四尺
永久不泯有來千億
檀紀四三一五年 壬戌七月上澣
淸州文廟首席掌議商山朴允燮 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