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 및 유적
home > 유물 및 유적
이조참판공파
페이지 정보
본문
|
|
|
|
|
|
16世 국간(國幹, 1527~1591)의 전라좌수사 시절 선정으로1588년에 세워진 비로, 전라좌수영인 여수 진남관의 비림(碑林)중 가장 오래된 비다.
전남 여수시 동문로 11 진남관(국보 304호) 앞 비림내 |
|
조선오란(왜란,이괄의 난,정묘호란,병자호란,이인좌의 난)의수훈자들2143위 중에 변문 15위인 16世 국간, 17世 홍원외 7명, 18世 공의외 4명, 19世 립이 포함되어 있다.
전남 담양군 창평면 경동길 54, 충의사 호국충혼탑 |
|
16世 국경(國經) 후손들의 제실로 매년 양력 11월 2째주 일요일에40여명이 모여 세사를 지낸다.
전남 보성군 보성읍 강산1길 19-4 |
|
|
|
임진왜란 전사한 주부(主簿) 18世 연수(延壽,1538~1597)와아들 19世 립(岦,1555~1597), 7일만에 순종한 아들의 배우자 안동김씨 3인의 충효열(忠孝烈)인 삼강(三綱)을 기리는 곳이다. 연수(延壽)는 병조판서에, 립(岦)은 통정대부 승정원좌승지에 각 증직(贈職)되었다.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양촌리 235-1 |
|
19世 운익(雲翼,1555~1578) 후손들의 제실로 2023년 신축해서매년 음력 10월 15일이 속하는 주의 뒤 일요일에 세사를 지낸다.
경남 양산시 물금읍 오봉3길 44 |
|
21世 기운(紀雲, 1619~?.4.8) 후손들의 시제를 지내는 곳으로매년 음력 10월 15일이 속하는 주의 뒤 일요일에 약 30여명이 모여 세사를 지낸다.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팔의사로 511-28 |
|
24世 종귀(宗貴, 1817~1896) 후손들의 제실로 매년 봄 4월둘째주 토요일에 약 30여명이 모여 세사를 지낸다
전남 장흥군 안양면 장수길 45 |
|
25世 성규(晟圭, 1821~1895), 26世 종옥(鍾玉 1892~1958),27世 길수(佶洙,1914~?)가 문중산소 문제로 소송을 당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원만히 해결하였기에 이를 기리기 위해 28世 상용(相鏞,1912~?)이 비를 세운다.
전남 장흥군 안양면 풍암중산길 53-35 |
|
27世 응수(應洙,1846~1921) 조선 말 문과에 급제하고 중앙관직을역임후 퇴직했다. 문중선양(성구사와 삼강려 설치),인재양성(도산서당 설립), 독립운동(4.3만세운동) 지원에 힘썼다. 응수(應洙)가 틈틈이 쓴 글을 후손들이 모아 1927년 지재집(志齋集)을 출간한다.
경남 마산합포구 진전면 일암리 |
|
1919년 4.3 삼진의거 독립만세운동에서 순절하신 8의사를기리는 탑으로 8인 중에는 변문 2인 28世 상복(相福)과 29世 갑섭(甲燮)이 포함되어 있다. 그 외에도 29世 상태(相泰) 등 총 13인의 변문의사가 독립만세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재판을 받거나 감옥에 투옥되기도 했다.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지산리 58-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