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 및 유적
home > 유물 및 유적
변문의 주요 거주 지역
페이지 정보
본문
<변문의 주요 거주 지역>
도시조 변정실을 기준으로 모든 변씨들은 초계에 뿌리들 두면서 지금은 경향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다. 초계 밀양을 비롯 소수이긴 하나 원주나 경주, 남원, 청주 등을 본관으로 한 변씨를 합하면 총 78,685명이다.(2000년, 통계청) 현재 군소 변씨들의 본관은 총 20개(본관 미상 변씨 포함)이며 초계와 밀양을 합치면 총 22개이다. 78,685명의 변씨가 있기까지 가장 큰 역할을 한 지역은 세종실록지리지를 통해 보더라도 단연 초계와 밀양이다.
휘 |
세 |
자 |
호 |
계파 |
거주지 |
비고 |
변정실 |
1 |
|
|
초계/밀양 |
경남 합천 초계 |
문열공/도시조 |
변고적 |
4 |
|
|
|
밀양 |
밀양 시조 |
변 순 |
10 |
|
|
연안공 |
충청남도 직산읍 |
|
변 굉 |
10 |
|
|
참판공 |
경기도 안성 |
|
변효문 |
10 |
一敏 |
|
제학공 |
직산 |
|
변 옹 |
10 |
|
|
감무공 |
경북 의성 |
|
변맹량 |
10 |
|
春軒 |
춘헌공 |
이북 |
|
변중량 |
10 |
|
春堂 |
춘당공 |
거창 |
|
변계량 |
10 |
巨卿 |
春亭 |
춘정공 |
경북 경산 |
|
변효량 |
10 |
士友 |
景慕 |
찰방공 |
합천 상책 |
|
변효검 |
10 |
|
|
참봉공 |
경북 안동 녹전면 |
|
변숙빈 |
10 |
|
仲隱 |
중은공 |
초계 적중 |
|
변몽량 |
10 |
殷老 |
|
부사공 |
합천 청덕면 |
|
변이흠 |
11 |
|
至樂軒 |
제학공 |
상주 산양 |
|
변 집 |
13 |
|
|
연안공 |
선산군 옥성면 |
|
변 온 |
13 |
|
淸軒 |
이조참판공 |
전남 장흥 |
변효경 후손 |
변 온 |
14 |
和甫 |
|
연안공 |
충북 청원군 가덕면 |
|
변홍조 |
14 |
|
|
우윤공 |
아산 |
|
변설매 |
14 |
德文 |
|
찰방공 |
대구 수성 |
|
변추휘 |
15 |
|
|
장흥공 |
경남 창원 |
변타 후손 |
변 구 |
15 |
玉如 |
斗巖 |
제학공 |
전북 고창 |
|
변상립 |
15 |
|
|
참봉공 |
충남 금산 |
변효검의 5대손 초휘 俊仁 |
변장숭 |
16 |
珥聖 |
|
찰방공 |
경북 고령 |
|
특히 초계는 변씨에 있어서 어머니와 같은 역할을 했던 땅이었음을 변씨 역사 흐름을 통해 알 수 있다. 밀양도 이를 뒷받침할 만한 중요한 지명이다. 변고적이 초계에 살다가 밀양으로 들어가면서 오늘날의 밀양 변씨가 있게 되었다. 비록 분파는 해 갔다고 하더라도 변고적도 초계인임은 자명하다. 이처럼 변씨는 초계를 발판으로 차츰 지역을 확대해 가기 시작했다. 다음은 각 계파를 낳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거주지를 세분해서 표로 정리해 보았다.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10세들이 변씨 계파를 나누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주요 거주지역은 초계, 밀양, 직산, 안성 등이다.
그러다가 충북 청원군(淸原郡) 북일면(北一面)ㆍ북이면(北二面)ㆍ가덕면(加德面), 진천군(鎭川郡) 진천읍(鎭川邑), 괴산군(槐山郡) 사리면(沙梨面), 경북 선산군(善山郡) 선산읍(善山邑), 청도군(淸道郡) 풍각면(豊角面), 의성군(義城郡) 비안면(比安面), 문경군(聞慶郡) 산양면(山陽面), 대구시(大邱市) 수성동(壽城洞), 경남 거창군(居昌郡) 가조면(加祚面), 합천군(陜川郡) 초계면(草溪面)ㆍ쌍책면ㆍ청덕면(靑德面), 의창군(義昌郡) 진전면(鎭田面), 전북 고창군(高敞郡) 고창면(高敞面), 전남(全南) 장흥군(長興郡)ㆍ보성군(寶城郡)ㆍ광양군(光陽郡)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