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을빛낸인물
home > 가문을빛낸인물
페이지 정보
본문
|
|
호 |
춘당(春堂) |
생년 |
1345(충목왕 1)~ 1398(태조 7) |
시대 |
고려 후기 |
본관 |
초계(草溪)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변옥란(卞玉蘭) |
조부 |
변원(卞原) |
증조부 |
변주(卞珠) |
처부 |
이원계(李元桂) |
외조부 |
성공필(成公弼) |
저서 |
《춘당유고(春堂遺稿)》 |
공신호 |
원종공신(原從功臣) |
[상세내용]
1345년(충목왕 1)∼1398년(태조 7).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호는 춘당(春堂).신의위보승산원(神義衛保勝散員) 변주(卞珠)의 증손(曾孫)이며, 증찬성사(贈贊成事) 변원(卞原)의 손자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변옥란(卞玉蘭)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전객서부령(典客署副令) 성공필(成公弼)의 딸이다. 대제학 변계량(卞季良)의 형이며,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이복형인 이원계(李元桂)의 사위이다.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고려 말기에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사를 지냈다.
1392년(공양왕 4) 이방원(李芳遠)이 이제(李齊) 등과 함께 스승인 정몽주를 제거하려는 계획을 미리 눈치채고 이성계에게 문병가는 것을 말렸으나 정몽주는 정세를 살피기 위하여 이성계의 집에 다녀오다가 이방원의 문객 조영규(趙英珪)‧고려(高呂) 등에게 살해되었다.
1395년(태조 4) 전중경(殿中卿)으로 있으면서 병조정랑 이회(李薈) 등과 함께, 정권과 병권이 조준(趙浚)‧정도전(鄭道傳)‧남은(南誾) 등에게 다 맡겨진 것은 옳지 못하다는 말을 했다가 순군옥(巡軍獄)에 갇히고 전중경의 관직을 박탈당하였다.
1395년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권될 때에 전중경이었다.
1398년 우부승지‧우산기상시(右散騎常寺)에 이르렀다. 이해 제1차 왕자의 난에 정도전의 일파로 몰려 참살되었다. 시에 능하였고, 고창의 병암서원(屛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춘당유고(春堂遺稿)》가 있다.
[참고문헌]
高麗史, 太祖實錄, 國朝人物考, 百氏通譜
[집필자]
박천식(朴天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