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헌

home > 문 헌

해위자술_ 변형수(27세손/1-1924-1950)가 저술한 내용을 아들 변동식이 책으로 1988년 발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diko
댓글 0건 조회 154회 작성일 23-10-09 12:05

본문

해위자술海爲自述

요약

해위자술(海爲自述)은 변형수(27/1세손)가 저술한 내용을 아들 변동식이 문집으로 편찬한 것이다.

저자

변형수(卞亨洙) 27/1세손 지락헌공파 1924-1950 자 해위海爲 호 학인鶴人

경성법전졸업, 마산고교등 선생 역임, 한국동란시 망

: 점촌후 달산 후록

: 진성이씨

공묘 쌍분

발간일

1988

발간자

변동식(아들), 철랑() 변기수외

내용요약

1/2

1편에는 학술논문(學術論文)으로서 유가사상의 연구(儒家思想硏究)2편에는 개춘서실(皆春書室) 시문(詩文)으로 제가(諸家)의 한시(漢詩)와 서한(書翰) 를 적어 놓고 있다.

저자계보

효문(10/5)-이흠(11/3)-(12/3)-안인(13/1)-(14/3)-회영(15/1)-(16/1)-응로(17/1)-시정(18/1)-석준(18/1)-도일(20/1)-옥신(21/1)-달진(22/2)-해래(23/2)-영보(24/1)-봉규(25/2)-종태(26/1)-형수(27/1)-동식(28/1)-재섭(29/1)

경로

www.chogyebyun.com/htmls/munheon/hwjs_1988_s.pdf

 

1. 책내용

1편 유가사상의 연구(儒家思想硏究)는 주역(周易)과 변증법(辨證法)에 대한 연구논문으로서, 유가사상의 맹아(萌芽)와 발전(發展)을 살펴보고, ()의 원리(原理)를 이해하고 역()을 변증법적(辨證法的)으로 고찰한 후 역변증법(易辨證法)의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2제가(諸家)의 시문(詩文)’은 개춘서실(皆春書室) 시문(詩文)으로서 1940년대 중후반에 20대 초반의 선생이 자신(自身)이 교유하던 선배지우(先輩知友)들과 함께 지은 한시(漢詩)와 서한(書翰) 등을 손으로 일일이 필사(筆寫)하여 정리해 놓은 시문집(詩文集)이다. 특히, 산강(山康 卞榮晩 1889~1954), 위당(爲堂 鄭寅普1892~?) 등에게 사사(師事)하고 연민(淵民 李家源), 운강(耘崗 李昌燮), 천위(天爲), 창은(滄隱) 등과 교유하며 지은 글들을 담아 놓고 있다.

 

이 시문집(詩文集)의 특성과 내용을 살펴보면,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후 당시의 불안한 정국과 불우한 환경 속에서, 지식인들이 포부(抱負)를 펼칠 수 없는 시대상이 반영되어, 주로 자연(自然)을 찬미(讚美)하고 경물(景物)을 완상(玩賞)하며 목가적(牧歌的) 삶을 예찬(禮讚)하는 글을 담고 있다.

쇄선재소회(碎仙齋小會), 학인정사회화(鶴人精舍會話), 개춘서실회화(皆春書室會話) 등 회()자를 붙인 소제목(小題目) 아래에 한시(漢詩)를 적고 시()의 말미에 글 쓴 이의 호()를 적어 놓고 있다.

이 시집에 필사(筆寫)되어 있는 글씨와 서체를 살펴보면,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 등 여러 가지 서체를 두루 섭렵하고 있고, 특히 해서체에서 선생의 필치(筆致해서체에서 선생의 필치(筆致)는 정일(靜逸)함과 유려(流麗)함을 갖추고 있다.

2. 발간내력

아들 동식(東軾)과 딸 철랑(喆娘/사위申達湜)이 숙부(卞基洙)와 함께 한문학자 이가원, 이구영(李九榮), 강동엽(姜東葉 강원대 교수) 등의 도움(편집)으로 선생의 유고를 정리, 편집하여해위자술(海爲自述) 이란 이름의 책으로 1988년 출간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