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헌

home > 문 헌

이산유고(尼山遺稿) : 초계 변종혁(卞鍾爀)(26세손)이 쓴 저서.-1925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diko
댓글 0건 조회 149회 작성일 23-10-29 18:17

본문

구성

31

내용

제 최익현, 기우만등과 여행기등..

출판년도

 

저자

변종혁 [卞鍾爀]1873.11.9.-1947.1.15.생 전북 고창 신월리 생

; 이산(尼山)

조의곤, 기우만 문하에서 수업

경술국치로 집 뒤에 이산재를 짓고 두문불출 독서와 저작으로

:장성군 북일면 광암촌 후 치동 선영하 유표석

:진주 강씨

: 1929. 기사 3.18

: 합폄

계보

효문(10)-이흠(11/3)-(12/)-원종(13/2)-응소(14/1)-(15/1)-성온(16/1)-경천(17/1)-상인(18/1)-시행(19/1)-익상(20/1)-동빈(21/1)-명초(22/1)-학성(23/2)-문화(24/1)-숙규(25/1)-종혁(26/1)

경로

www.chogyebyun.com/htmls/munheon/is_1940.pdf

목차

1:(),()

2:()

3:(),잡저(雜著),(),(),()

4:(), (), (),자사(字辭), 혼서(婚書), 축문(祝文), 제문(祭文), 상량문(上樑文), (), 묘갈명(墓碣銘), 행장(行狀), ()

5: 부록(附錄)

 

주요 저술

1907년 최익현이 대마도에서 순절하자 제면암선생문 (祭勉庵先生文)을 지었다.

1916년 기우만이 세상을 떠나자 제송사선생문(祭松沙先生文)을 지었다.

1940왕등도완해상풍경(旺嶝島翫海上風景)을 지었다.

 

변종혁 [卞鍾爀]1873-1947

정의:근대와 현대 고창 출신의 유학자.

개설:본관은 초계(草溪)이며, 자는 회숙(晦叔), 호는 이산(尼山)이다. 1873(고종 10)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신월리에서 태어났다. 호암(壺巖변성온(卞成溫)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월암(月巖변문화(卞文華)이다. 아버지는 통정대부를 지낸 변숙규이다.

활동사항

변종혁(卞鍾爀)은 어려서는 할아버지 변문화 밑에서 공부를 하다가 10세가 되던 해 동오(東塢조의곤(曺毅坤)의 문하에 들어갔다. 그 후 변종혁은 송사(松沙기우만(奇宇萬)의 문하에서 조덕승(曺悳承), 김재종, 서우식, 이공우, 김노수(金魯洙), 김수익 등과 함께 수업을 했다. 190111월 면암(勉庵최익현(崔益鉉)을 만났다. 경술국치 이후 집 뒤쪽에 1칸짜리 이산재(尼山齋)를 짓고 두문불출하며 독서로 울적한 심정을 달래었다. 1947년 정월 75세를 일기로 죽었다.

 

참고문헌

유풍연, 고창의 유학(고창군, 1996)

[네이버 지식백과변종혁 [卞鍾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종합db에 아래와 같은 글이 나온다고 한다

 

만변이산-이윤환

답 변이산조혜승

만변이산-조석일

만변이산-고예진

이산변공-유영선

이산 변공 묘갈,

이산변공행장-양회갑

이산변처사묘표-조혜승

이산 처사 변군 요갈명 이광수

 

족보

 

효문(10)-이흠(11/3)-(12/)-원종(13/2)-응소(14/1)-(15/1)-성온(16/1)-경천(17/1)-상인(18/1)-시행(19/1)-익상(20/1)-동빈(21/1)-명초(22/1)-학성(23/2)-문화(24/1)-숙규(25/1)-종혁(26/1)

 

: 장성군 북일면 광암촌 후 치동 선영하 유표석

: 진주 강씨

 

후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